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해제…종합일간지들 "책임져야 한다" 강한 비판

입력 2024년12월04일 10시27분 조규민

"민주주의 퇴행, 대통령 자격 상실"…탄핵 논의 불가피 지적


(사진 출처 = 기자협회보 /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5시간 59분 만에 해제된 가운데, 4일 주요 종합일간지들은 일제히 1면 기사와 사설을 통해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윤 대통령이 이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고, 중앙일보는 "대통령 탄핵 논의가 불가피해졌다"고 지적했다. 서울신문과 한겨레신문은 호외까지 발행하며 "윤 대통령이 정상적인 판단력을 상실하고 시대착오적인 행동을 했다"고 주장했다.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등 8개 종합일간지는 모두 비상계엄과 국회의 해제 결의 과정을 1면 기사로 다뤘다. 서울신문만이 서울 지역에 배달되는 20판에는 기사를 포함하지 못하고 호외(21판)를 발행했다. 세계일보는 계엄사령부의 포고령 제1호를 별도로 다루었고, 국민일보와 한겨레는 시민들이 국회를 지키며 계엄군에 항의하는 모습을 비중 있게 전했다.

 

국민일보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언하자 분노한 시민 1000여 명이 국회 앞으로 집결해 국회를 지켰다"며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가 가결되자 환호했고, 일부는 국회를 바라보며 애국가를 부르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대부분의 종합일간지는 이날 사설을 통해 윤 대통령의 행보를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신문을 제외하고 모든 종합일간지가 사설을 실었고, 한겨레는 특별히 1면에 사설을 배치하며 "윤 대통령의 계엄령은 국민에 대한 반역"이라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비상계엄이 무위로 돌아갈 상황이 뻔히 예견됐는데도 계엄령을 선포한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며 "이번 계엄 선포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간을 되돌리는 퇴행"이라고 비판했다.

 

세계일보 역시 "현 시국이 과연 국가비상사태인가에 의문이 든다"며 "윤 대통령의 느닷없는 계엄령이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기에 몰아넣었다"고 밝혔다. 한겨레는 "윤 대통령은 이제 대통령 자격을 상실했다"며 "대한민국의 주인은 국민"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명분으로 종북 세력 척결과 자유헌정질서 수호를 내세웠으나, 이는 설득력이 없다"며 "야당의 행태가 정상적이지 않더라도, 정치로 풀어내야 하는 것이 대통령의 역할"이라고 비판했다. 한국일보도 "윤 대통령의 철 지난 색깔론에 공감할 국민은 없다"며 이번 계엄을 "민주주의를 퇴행시키는 행위"라고 평가했다.

 

중앙일보는 "대통령의 탄핵 논의가 불가피하다"며 "대부분의 참모도 회견 내용을 몰랐다고 하니 중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누구와 상의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 역시 "윤 대통령의 심야 비상계엄 선포는 도를 넘은 조치이며, 세계적으로 망신스러운 일"이라며 "윤 대통령은 책임을 지고 국민에게 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기사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포토뉴스

칼럼